.. _cmsIxSetSpeedPattern_T: cmsIxSetSpeedPattern_T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SYNOPSYS ````````````` .. code-block:: none VT_I4 cmsIxSetSpeedPattern ([in] VT_I4 BoardID, [in] VT_I4 MapIndex, [in] VT_I4 IsVectorSpeed, [in] VT_I4 SpeedMode, [in] VT_R8 IniRatio, [in] VT_R8 EndiRatio, [in] VT_R8 VelRatio, [in] VT_R8 AccTime, [in] VT_R8 DecTime) DESCRIPTION ````````````` - cmsIxSetSpeedPattern_T()은 “기본보간제어”의 이송 속도에 대한 환경을 정의합니다. 사용자가 지정한 작업 속도는 “IsVectorSpeed”의 설정값이 ‘TRUE’이면 벡터 스피드, ‘FALSE’이면 마스터 스피드가 적용됩니다. “벡터속도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“REFERENCE”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 \ - 보간 작업 속도를 벡터속도로 설정해야만 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간 작업 속도를 마스터속도로 설정하는 것이 모터의 최대속도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편리합니다. \ - 이 함수의 사용과 호출에 있어, 제공된 ㈜커미조아의 함수 헤더 Visual Basic 에서는 함수의 첨두어 cms 가 붙지 않습니다. PARAMETER ````````````` ▶ BoardId: 사용자가 설정한 디바이스(보드) ID. ▶ MapIndex: 맵번호(Map index), 이 맵번호를 사용하기전에 먼저 cmsIxMapAxes() 함수를 통하여 해당 맵번호에 유효한 축들이 맵핑되어 있어야 합니다. ▶ IsVertorSpeed : cmsIxSetSpeedPattern함수의 인자이며, TRUE로 설정했을 경우에는 벡터스피드 모드로, FALSE로 설정했을 경우에는 마스터스피드 모드로 설정됩니다. ▶ SpeedMode 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속도모드를 설정합니다. 설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. .. csv-table:: :widths: 10 90 :header-rows: 1 :stub-columns: 0 Value, Meaning "| 0 또는 cmsSPEED_CONDSTANT", " | CONSTANT 속도모드 => 가감속을 수행하지 않습니다." "| 1 또는 cmsSPEED_TRAPEZOIDAL"," | TRAPEZOIDAL 속도모드 => 사다리꼴 가감속을 | 수행합니다." "| 2 또는 cmsSPEED_SCURVE", " | S-CURVE 속도모드 => S-CURVE 가감속을 수행합니다." ▶ IniRatio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마스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초기속도 비율을 설정합니다. 벡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PPS단위를 사용하여 설정 합니다. ▶ EndiRatio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마스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최종속도 비율을 설정합니다. 벡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PPS단위를 사용하여 가속도를 설정합니다. ▶ VelRatio 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마스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작업속도 비율을 설정합니다. 벡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PPS단위를 사용하여 설정 합니다. ▶ AccRatio 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마스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가속도 비율을 설정합니다. 벡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PPS단위를 사용하여 가속도를 설정합니다. ▶ DecRatio : cmsIxSetSpeedPattern_T 함수의 인자이며, 마스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감속도 비율을 설정합니다. 벡터스피드모드 일 때는 PPS단위를 사용하여 감속도를 설정합니다. RETURN VALUE ````````````` +------------+-----------+ | Value | Meaning | +============+===========+ | 음수 | 수행 실패 | +------------+-----------+ | ERR_NONE | 수행 성공 | +------------+-----------+